TRUST STORY

TREND

2023년 경제·산업, 성장세 둔화 수출 감소 전망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산업계는 속속 비상경영에 돌입했으며,
소비자들은 제품에 주머니를 열지 않는다. 미국의 고금리 기조와 미·중 간 무역분쟁도 우리에게 어려움으로 다가온다.
그야말로 악재의 연속이다. 위기라고 불리는 2023년 경제산업을 전망해본다.

자료 | 산업연구원 정리 | 편집실

대외 여건 악화로 경기둔화 우려감 고조

국내 실물경기는 상반기만 해도 소비개선과 수출확대 등으로 회복 기조가 이어졌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글로벌 인플레이션 심화와 에너지·원자재 가격상승 등 대외 여건 악화로 이어졌으며 특히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내수는 소비가 일상 회복 위주의 방역정책 전환과 고용 여건 개선 등에 힘입어 호조세를 보였으나,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등의 투자수요가 금리 및 물가 상승과 더불어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인해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수출(통관 기준)은 전년도 기저효과에도 두 자릿수 증가 율을 유지해 왔지만, 하반기 들어 한 자릿수 증가율로 둔화됐다.
한편 2023년 세계경제는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유럽-러시아와 대만을 둘러싼 미국-중국 간 대립 등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주요국의 금융긴축과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 등이 성장세를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경기 향방의 주요 변수로는 미국·유럽 및 중국·러시아 등 지역 간 대립 심화에 따른 지정학적 불확실성, 주요국들의 인플레 완화 여부 및통화정책 기조의 전환시점, 중국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강도와 성장회복 정도 등이 관심사로 작용할 전망이다.
2023년 국내경제는 글로벌 경기부진과 교역량 둔화 등의 대외 여건하에서 통화 긴축영향의 본격화에 따른 소비 둔화 등의 대내 여건으로 인해 전년(2.5%)보다 낮은 1.9%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대내외적으로 코로나19 상황해제 및 일상회복 진전, 러시아-우크라 이나 관련 불확실성,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기조 전환 여부, 고물가 및 금리인상, 환율 및 금융시장 불안, 무역적자 지속 여부 등이 변수로 꼽힌다.

민간소비는 저조한 소비심리, 주요 자산가격 하락, 실질소득 하락 등에 더해, 특히 고금리에 의한 이자 부담의 급격한 증가로 상당한 제약을 받으면서 2022년과 달리 그 증가폭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설비투자의 경우 글로벌 경기 둔화, 반도체 업황의 악화 등과 관련된 불확실성 확대, 고환율(달러 강세), 자본조달 비용 상승 등의 영향으로 회복세가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설자재 수급 안정화, 정부 주택공급 정책 등에 힘입어 증가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금리상승 및 신규착공 위축 등의 영향으로 회복세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수출은 원·부자재 가격의 하향안정과 원화약세로 인한 가격경쟁력에도 전세계 경기둔화에 따른 수요위축과 반도체 산업 부진 심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3.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역시 국내경기 둔화와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의 안정 등으로 전년 대비 하락이 예상되고, 기저효과까지 감안 시 수출보다 좀 더 큰 폭인 5.1% 감소가 예상된다. 무역수지는 수입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감소하면서 적자 규모가 2022년 대비 축소된 연간 266억 달러 정도로 예상되고 있다.

2022년 13대 주력산업 동향

국내 13대 주력산업의 2022년 수출은 상반기까지 높은 증가세(18.0%)를 유지하였으나, 하반기 들어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주요국의 강력한 통화긴축 정책, 공급망 불안 지속 등의 대외 여건 불확실성 심화로 감소세(-1.3%)로 전환하여 전년 대비 7.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기계산업군의 수출의 경우, 자동차와 일반기계는 증가세가 지속되나 조선은 2020년 수주절벽 영향으로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하며 전체로는 2.4% 소폭 증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소재산업군은 하반기 수입수요 감소 및 수출단가의 점진적 안정세로 전년 (46.0%)보다 증가폭이 축소된 20.4% 증가가 전망되며, IT신산업군은 하반기 글로벌 수요 부진 심화로 이차전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감소하여 전년(25.4%)보다 증가폭이 크게 축소된 2.8%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내수의 경우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환율 상승 등 대내 여건 악화로 경기가 위축되었다. 섬유(6.1%), 반도체(10.8%), 이차전지(19.4%), 바이오헬스(11.0%)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이 전년 대비 감소로 전환하여 내수 둔화세가 가시화되고 있다. 자동차는 상반기 공급 부족에 따른 실적 악화, 조선은 인수물량 감소, 일반 기계는 설비투자 부진으로 감소세를 보인다. 정보통신기기, 가전, 디스플레이 역시 감소한 반면,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헬스 등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한 것이 특징이다. 생산 분야에서는 수출과 내수 동반 부진으로 대다수 산업에서 증가세가 둔화하거나 감소로 전환됐다. 특히 자동차 생산은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조선은 코로나19로 인한 2020년 수주절벽, 일반기계는 내수 부진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정유, 석유화학을 제외한 철강과 섬유는 공급차질과 수요둔화로 감소로 전환됐다. 이차전지와 바이오헬스 생산은 양호한 증가 흐름을 이어간 반면, 나머지 산업들은 국내외 수요 둔화로 증가폭이 축소되거나 감소로 전환되었다.

2023년 대내외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 성장률 둔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및 인플레이션 압박, 통화 긴축기조 등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점증되고 있다. 정보통신기기, 전기차, 이차전지 등 IT·친환경 관련 산업 부문의 수요 회복세에도 글로벌 경기위축,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물가 및 금리인상에 따른 급격한 소비심리 위축 등의 불확실성 확대로 대다수 산업에서 증가세가 둔화하거나 감소할 것으로 전망 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 경기둔화 여파로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수출국에서 수입수요 증가세가 감소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2023년 국내기업의 해외생산은 세계 수요 대응 및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국가를 중심으로 생산 확대와 투자가 지속될 전망이다.
국내 시장의 경우 대내외 경제 성장률 둔화, 물가 및 금리 인상, 수요산업 부진 등 전반적인 내수 여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부품수급 정상화, 대내외 수요에 대응한 생산설비 신증설 및 가동률 상승에 힘입어 국내 공급능력 향상이 기대되지만, 일부 산업에서는 해외 생산 확대 및 제품구조 변화로 공급능력이 위축될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2023년 13대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

2023년 13대 주력산업 분야의 수출은 주요 수출국 물가상승 및 통화 긴축기조 유지, 세계경제 성장률 둔화 여파로 자동차 (2.5%), 조선(42.4%), 이차전지(17.3%), 바이오헬스(6.5%)를 제외한 대다수 산업에서 부진하여 2022년(7.7%)보다 4.0% 감소한 5,179억 달러가 전망된다.
기계산업군의 경우, 일반기계 감소(-2.3%)에도 불구하고 자동차(2.5%)와 조선(42.4%)이 수출 호조를 보이면서 기계산업군 전체로는 5.7%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소재산업군은 단가 하락 및 수입 수요 둔화로 전년 대비 11.2% 감소세가 예상되고, IT신산업군은 경기 위축에 따른 수요 부진과 해외생산 확대로 전년 대비 5.0% 감소가 전망된다. 내수의 경우 수요산업 경기 둔화 및 소비심리 위축으로 다수 산업에서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조선(35.4%)과 이차전지(33.1%)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이 감소세를 지속하거나(자동차, 일반기계, 정유, 석유화학, 가전, 디스플레이) 성장세 둔화(섬 유, 반도체, 바이오헬스)가 전망된다. 특히 IT신산업군에서는 가전, 디스플레이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기기, 반도체, 이차전지가 IT신산업군 전체 내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 부문의 경우, 조선(42.4%), 철강 (1.6%)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내수와 수출 동반 부진, 재고 누적의 부정적 요인으로 성장세가 둔화하거나 감소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된다. 기계산업군은 자동차(-0.1%)와 일반기계(-9.5%)가 내수와 수출 부진으로 감소하지만, 조선은 코로나 이후 수주한 선박이 본격적으로 생산되어 큰 폭으로 증가(42.4%)할 전망이다. 철강(1.6%), 정유(1.1%)는 소폭 증가세가 예상되나, 석유화학(-1.5%), 섬유(-0.4%)는 대내외 여건 악화로 감소할 전망이다. IT신산업군 중에서 가전(-3.1%), 반도체(-4.9%), 디스플레이(-2.7%) 생산은 국내외 수요 둔화로 감소하지만, 정보통신기기(1.4%), 이차전지(5.4%), 바이오헬스(7.9%) 등은 수요 확대에 힘입어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수입 부문의 경우 단가 안정화 및 내수경기 둔화로 전년 (8.0%) 증가에서 -1.2%의 감소로 전환될 전망이다. 조선은 해외 기자재 수입으로 증가가 예상되는 반면, 자동차와 일반기계는 소폭 감소하여 기계산업군 전체로는 0.4% 증가할 전망이다. 소재 산업군은 섬유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단가와 물량 동반 부진으로 7.7%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정보통신기기, 반도체, 이차전지 등의 내수 확대가 IT신산업군 수입 증가를 견인하여 2.0% 증가가 예상되지만, 전년(11.7%) 대비 증가폭은 크게 둔화할 것으로 전망된다.